안녕하세요! 실리콘 시리즈 6편입니다! 실리콘과 타 소재의 차이점, 궁금하시죠? 실리콘 vs 타 소재 1편! 미니퀴즈와 함께 알아보아요 ㅎ
※드래그하여 미니퀴즈의 정답과 풀이를 볼 수 있습니다 :)
TPE vs 실리콘 – 유연성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TPE(Thermoplastic Elastomer)와 실리콘은 모두 유연한 고무 대체재로 널리 쓰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성질은 꽤 다릅니다. TPE는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 다시 녹아 성형할 수 있어 단순한 구조물이나 대량 생산용 부품에 유리하죠. 반면 실리콘은 열경화성이라 한 번 경화되면 다시 녹지 않지만, 훨씬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구분 | TPE | 실리콘 |
성형 방식 | 열가소성 사출 | 열경화성 사출 (또는 압출) |
내열성 | 최대 약 120℃ | 최대 약 300℃ |
내한성 | -30℃ 이하에서 경화 가능성 | -50℃까지 유연성 유지 |
반복 사용 | 상대적으로 약함 | 장기적 반복 압축에 강함 |
전기 절연 | 일반 수준 | 우수 |
🧠 미니퀴즈
Q. 다음 중 열경화성 사출 성형이 적용되는 소재는?
① TPE
② TPU
③ 실리콘
④ PVC
정답: ③
풀이: 실리콘은 열경화성 소재이기 때문에 한 번 경화되면 녹지 않으며, 고온 금형 성형에 적합합니다.
네오프렌 vs 실리콘 – 방수복이냐 의료부품이냐
네오프렌(Neoprene)은 대표적인 합성 고무로, 방수성과 내유성이 강해 잠수복, 산업용 장갑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실리콘은 내유성은 떨어지지만 고온·저온 내성, 전기 절연성, 화학 안정성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입니다. 만약 제품이 반복적인 압축·이완과 동시에 온도 변화나 절연이 필요한 경우라면 실리콘이 더 적합합니다. 그러나 유류가 자주 닿는 작업복이나 연료 파이프라면 네오프렌이 유리하죠.
구분 | 네오프렌 | 실리콘 |
내유성 | 우수 | 보통 이하 |
내열성 | 약 120℃ | 약 300℃ |
전기 절연 | 낮음 | 우수 |
내후성 | 양호 | 매우 우수 |
사용 예 | 방수복, 장갑 | 의료용 튜브, 고온 실링 |
🧠 미니퀴즈
Q. 전기 절연 부품 제작에 적합한 재료는?
① 네오프렌
② 실리콘
③ NBR
④ PU
정답: ②
풀이: 실리콘은 우수한 전기 절연성과 열 안정성을 지녀 전자기기, 절연 패드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
EPDM vs 실리콘 – 가격과 수명 사이의 균형
EPDM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적당한 내후성과 유연성을 가진 고무입니다. 실리콘보다 열에 약하지만, 자동차 도어 씰, 가전의 외부 패킹 등에는 널리 쓰입니다. 실리콘은 더 높은 비용이 들지만, 자외선·산화·고온·극저온 등 대부분의 환경에서 더 긴 수명을 보장합니다. 비용이 중요하면 EPDM, 기능성과 내구성이 우선이면 실리콘이 좋은 선택입니다.
구분 | EPDM | 실리콘 |
내열성 | 130℃ 전후 | 300℃ 이상 |
UV 저항성 | 보통 | 매우 우수 |
가격 | 낮음 | 높음 |
내구성 | 중간 | 높음 |
사용 예 | 자동차 창틀 고무 | 고온 부품, 의료 실링제 |
🧠 미니퀴즈
Q. 다음중 실리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기 절연 부품 제작에 적합하지 않은 재료
② 자외선·산화·오존에 매우 강해 실외 환경에서 장기적으로 형태와 기능을 유지
③ 열가소성 사출 성형이 적용되는 소재
④ 약한 내열성의 소재
정답: ②
풀이: 실리콘은 자외선·산화·오존에 매우 강해 실외 환경에서 장기적으로 형태와 기능을 유지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편에서는 TPE, 네오프렌, EPDM과 실리콘의 차이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같은 고무계 소재라 해도 성형 방식, 내구성, 사용 환경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실리콘은 다른 소재에 비해 단가가 높지만, 내열성, 전기 절연성, 내후성, 복원력 등 다양한 특성이 복합적으로 요구될 때 진가를 발휘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다른 대표적인 소재들과 실리콘의 비교를 통해 나머지 선택 기준들을 더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소재 선택은 단순한 '좋은 재료 고르기'가 아닌, 내 제품에 가장 적합한 조합을 찾는 과정입니다.
언제든 바로발주를 통해 문의를 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