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견적 비교 시리즈] 1편: 같은 도면인데 왜 업체마다 견적이 다를까?

바로발주

|

2025-07-04

목차

    같은 도면을 보냈는데도 업체마다 견적이 왜 이렇게 다를까요? 🤔
    그 답을 찾는 여정, 지금부터 기획특집의 [견적 비교 시리즈] 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견적 비교 시리즈] 1편: 같은 도면인데 왜 업체마다 견적이 다를까?

     

    단순히 도면만 보고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이 정도는 받아야 맞습니다.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동일한 도면을 여러 제조업체에 보내 견적을 받아봤는데, 업체마다 가격이 너무 달라서 당황하신 적이요.

    어떤 곳은 “이건 최소 100만 원은 듭니다”라고 하는 반면, 또 다른 업체는 “한 60만 원이면 충분해요”라고 하더라고요. 도면은 분명 똑같은데 말이죠. 왜 이런 차이가 나는 걸까요?

     

    사실, 이건 제조업에서 아주 흔한 일입니다. 

    가격 차이는 단순히 업체가 부르는 ‘감정가’가 아니라, 각기 다른 설비, 공정 방식, 리스크 판단 등 현실적인 조건들이 반영된 결과이기 때문이죠. 

     

    그럼 이제, 이 복잡한 견적의 세계를 하나씩 풀어볼까요?

     

     

     

    견적의 차이는 과연 어디서부터 시작될까요?

     

    공정 선택이 다르면, 비용도 다를 수밖에 없어요

     

     

    같은 도면이라도 어떤 기계로, 어떤 방식으로 제작하느냐에 따라 견적은 크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업체는 부품을 3축 밀링 머신으로 가공하고, 또 어떤 곳은 5축 가공을 적용할 수도 있어요.

    5축 가공은 정밀하지만 장비도 고가고 세팅 시간도 길죠. 그러니 비용이 더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가공 방식 특징 예상 비용 영향
    3축 밀링 단순 구조, 빠른 가공 낮음
    5축 가공 정밀도 높음, 공정 복잡 높음
    방전 가공 복잡 형상 대응, 느림 매우 높음

     

    공정 선택은 업체의 장비 구성, 작업자의 숙련도, 그리고 생산 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견적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수량과 세팅비: 단가 계산의 숨은 공식

     

    제품을 몇 개 생산하느냐에 따라서도 단가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유는 간단해요. 생산을 시작하기 전, 기계를 셋업하는 데 드는 세팅비용이 수량과 무관하게 동일하게 들어가거든요. 그래서 소량 생산일수록 단가가 확 올라갑니다.

     

    생산 수량 세팅 포함 단가 예시
    5개 50,000원
    50개 13,000원
    500개 8,000원

     

    "많이 만들수록 싸진다"는 얘기는 바로 이 구조 때문이에요. 한두 개만 제작하면 고정비가 분산되지 못해 부담이 커지는 거죠.

     

     

     

    도면 해석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어요

     

     

    도면에 명시된 내용 외에 누락된 정보들이 있다면, 업체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차가 빠져있거나, 표면 조도 지시가 없을 경우엔, 어떤 업체는 보수적으로 ±0.01mm로 잡고 고정밀 공정을 선택할 수 있고, 또 다른 곳은 ±0.1mm 정도로 보고 일반 가공을 할 수 있죠.

     

    이렇게 되면 공정도 달라지고, 사용되는 기계나 시간도 달라져서 견적이 달라집니다. 

    이건 업체가 신중하게 리스크를 반영한 판단일 수 있어요. 

     

    의외로 견적의 차이는 ‘실제 제품’이 아니라, ‘도면 해석’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설비와 인력, 그 안 보이는 차이들

     

     

    각 업체가 보유한 설비의 상태나 자동화 수준, 인력의 숙련도 역시 견적을 좌우합니다.

     

    예를 들어 오래된 기계를 쓰는 곳은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불량률도 높아질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리스크를 반영해 단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반대로 최신 자동화 라인을 갖춘 업체는 작업 속도도 빠르고 품질도 안정적이죠. 이러면 단가가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 어떤 업체는 자재를 직접 수급하지만, 어떤 곳은 외주로 자재를 받기도 합니다.

     

    이처럼 공급망 구조자재 단가에 따라 같은 제품의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기억해두시면 좋겠죠?

     

     

     

    그럼, 견적서에서 뭘 봐야 할까요?

     

    견적서를 받았을 때 “이 업체는 너무 비싼데?”라고 바로 판단하시면 안 돼요. 아래 항목들을 꼭 체크해보세요.

     

    체크 항목 왜 중요한가요?
    공정 방식 가공 장비와 난이도 차이를 이해해야 해요
    세팅비 반영 여부 고정비용이 단가에 어떻게 포함됐는지 파악해요
    도면 해석 방식 차이 업체가 요구사항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알 수 있어요
    납기 및 품질 기준 가격만큼 중요한 요소니까요

     

    이렇게 분석하다 보면, 단순히 숫자만 보고 ‘싼 게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던 판단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가격표 너머의 가치를 보는 눈

     

     

    제조업에서 견적이란 단순한 가격표가 아니라, 업체의 기술력, 설비, 경험, 리스크 대응 전략이 모두 반영된 종합적인 결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도면이면 가격도 같아야 한다’는 생각은 현실적으로 맞지 않아요.

     

    중요한 건 가장 저렴한 견적이 아니라, 내 제품에 가장 적합한 견적을 고르는 거예요.

    오늘 이야기 드린 내용이 다음 견적 비교에 작은 힌트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특집 제 1편 어떠셨나요? 😊

     

     

    다음 편 예고: 단가가 수량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는?

     

    똑같은 제품인데, 수량이 많아지면 단가가 확 낮아지는 이유,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2편에서는 단가가 수량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적 원리를 아주 쉽게 풀어드립니다.

    견적의 숫자가 달라지는 진짜 이유, 함께 들여다보시죠.

     

     

    👇🏻 아래 배너 클릭하여 AI 자동견적 받아보기

    견적차이

    제조업견적

    도면해석

    kakao
    url

    실시간 AI 온라인 발주 서비스 바로발주

    도면을 업로드하여 견적 및 납기를 확인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